정부24에서 간편하게 인증하고 참여하는 방법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가 7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부상의 주소와 실제 거주지를 일치시키는 중요한 절차로, 전국민이 참여해야 하며 미참여 시 과태료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사 대상, 기간, 그리고 정부24 앱을 통한 비대면 참여 방법까지 정리했습니다.
주민등록 사실조사의 목적
주민등록부에 기재된 주소와 실제 거주지를 확인해 행정 서비스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세금 부과, 재난지원금 지급, 복지 혜택 제공의 기초가 되는 만큼 반드시 참여해야 합니다.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대상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해당됩니다. 특히 아래의 경우는 중점적으로 확인됩니다.
- 100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세대
- 5년 이상 장기 거주불명자
- 사망 의심자 분류 세대
- 고위험 복지 위기가구
- 장기 결석·미취학 아동이 포함된 세대
이 경우 비대면 참여를 하더라도 추가 방문 조사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조사 기간과 절차
- 1단계 비대면 조사: 2025년 7월 21일 ~ 8월 31일
- 2단계 방문 조사: 2025년 9월 1일 ~ 10월 23일
- 자진 신고 기간: 2025년 10월 24일 ~ 11월 20일
현재는 스마트폰으로 간단히 참여할 수 있는 비대면 조사 기간입니다.
비대면 참여 방법 (정부24 앱)
- 본인 명의 스마트폰에 ‘정부24’ 앱을 설치 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홈 화면 상단의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배너 클릭
- 카카오·네이버 등 간편인증이나 모바일 신분증으로 본인 인증
- 세대원 정보 확인 후 사실과 같으면 ‘사실과 같음’ 선택
- GPS 위치 확인 → 주소 일치 여부 자동 인증
- 최종 제출 후 완료
세대원 중 한 명만 대표로 참여해도 세대 전체가 인정됩니다.
과태료와 주의사항
조사에 참여하지 않거나 허위 정보를 제출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또한 거주불명 등록 시 각종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는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 자진 신고 기간에 신고하면 과태료를 최대 80%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 GPS 오류 시 LTE/5G 데이터 이용, 창가에서 재시도
- 세대가 분리된 경우 각각 참여 필요
- 접속자가 적은 시간대에 참여하면 원활
정리 표
구분 기간 방식 비고
비대면 조사 | 7.21 ~ 8.31 | 정부24 앱 | 세대 대표 참여 가능 |
방문 조사 | 9.1 ~ 10.23 | 공무원 방문 | 미참여 세대 대상 |
자진 신고 | 10.24 ~ 11.20 | 주민센터 신고 | 과태료 감면 최대 80% |
마무리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단순히 행정 절차가 아니라, 복지와 공공 서비스를 제대로 받기 위한 필수 확인 과정입니다. 스마트폰으로 몇 분이면 끝나는 만큼 비대면 조사 기간을 놓치지 말고 정부24 앱에서 바로 처리하시길 추천합니다.
'여행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여행 추천, 실내외 즐길거리 BEST5 (3) | 2025.08.28 |
---|---|
2025 경복궁 생과방 티켓 예매·운영기간 총정리 (2) | 2025.08.28 |
2025 추석 기차표 예매 일정과 꿀팁, 실패 없는 예약 가이드 (0) | 2025.08.27 |
노란봉투법 통과! 의미부터 영향까지, 정말 악법일까? (2) | 2025.08.26 |
2025 덕수궁 밤의 석조전, 고종의 낭만이 깃든 가을 야행 (1) | 2025.08.26 |